-
일본 취업 정리 1 (ft. 채용 사이트 추천, 1차부터 최종 면접까지의 후기)도쿄/직장 2023. 7. 16. 17:46
안녕하세요 young koala입니다.
저는 작년에 약 6개월 동안 일본에서 직장을 갖기 위해 갖가지 방법으로 취업 활동을 했는데요.
최소 15군데 이상은 면접을 본 것 같아요. 2차, 3차 면접까지 합치면 30번은 넘는 면접 경험이 있습니다 하하..
그리고 그 중에 총 4개의 회사에서 최종 내정 승낙을 받았어요.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1. 이용했던 취직 정보 사이트
2. 겪어봤던 면접의 유형
3. 내정(최종 합격 통지)을 받기까지 면접 준비, 자기소개서 및 이력서 작성 꿀팁
4. 저만의 내정 승낙한 회사의 기준
이 4가지에 초점을 맞춰 글을 작성해보겠습니다..!
1. 이용했던 취직 정보 사이트
먼저 제가 이용했던 사이트를 나열해드릴게요.
1) 월드잡 플러스(WORLD JOB)
https://www.worldjob.or.kr/new_index.do
월드잡플러스
한국산업인력공단 운영, 해외취업, 해외진출정보, 해외채용공고, K-Move스쿨, 해외취업정착지원금 등
www.worldjob.or.kr
2) KOREC
KOREC | 일본취업 성공율 No.1 우수한 한국인재의 일본취업을 응원합니다.
일본 취업은 KOREC에서! 일본취업카페 KOREC의 공식 채용 플랫폼. 온라인으로 일본 기업의 최신 채용공고를 확인하세요
app.korec.jp
3) 리쿠나비
転職ならリクナビNEXT|希望の転職先が見つかる転職サイト
next.rikunabi.com
4) 마이나비
マイナビ - 学生向け就職活動(就活)・就職情報サイト
job.mynavi.jp
5) 마이나비코리아
https://www.mynavikorea.co.kr/
마이나비코리아
일본계기업 취업지원 / 일본현지취업 전문기업
www.mynavikorea.co.kr
특정 회사를 지원하고자 한다면 그 회사 홈페이지에서 채용정보를 보는 것이 가장 좋고요.
종합적으로 찾아보고자 한다면 이 정도만 둘러보셔도 충분할 것 같습니다.
리쿠나비와 마이나비는 일본계 취업 정보 사이트이고, 마이나비코리아는 일본 「마이나비 그룹」 의 한국 법인입니다.
그래서 한국 내의 일본계 기업의 채용 정보가 다른 사이트에 비해 많이 올라와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2. 겪어봤던 면접의 유형
대부분의 회사가 아래와 같은 채용 프로세스를 취합니다.
1차 : 서류 전형 (+SPI시험 or 코딩테스트)
2차 : 인사 담당자와의 면접
3차 : 임원, 회사 대표와의 면접우선 1차 서류전형은 자기소개서와 이력서를 기본적으로 요구하고, 회사에 따라 본인이 진행했던 프로젝트나 포트폴리오를 추가적으로 낼 수 있는 곳도 있습니다. 그리고 회사가 일정 규모 이상이라면 SPI시험을 보게 하거나, 저처럼 소프트엔지니어 직종이라면 SPI시험 대신 코딩테스트를 요구했던 곳도 있었어요. 비율로 따지자면 SPI시험 : 60% , 코딩 테스트 : 40% 정도라고 볼 수 있겠네요. 만약 1차에서 코딩 테스트를 보지 않았다면 2차에서 보게 하는 곳도 꽤 있었던 것 같아요.
* SPI시험은 보통 언어, 비언어로 나뉘어지는데요. 언어는 일본어로 진행되기 때문에 읽기가 중요하고, 비언어는 수학이 아니라 수리나 통계에 가까워요. 중학교까지의 수학이 제대로 되어 있다면 문제 없습니다! 그래도 시간에 맞춰 문제를 풀어야 하니까 구글에 떠돌아다니는 연습 문제를 좀 풀어보셔요..!
2차 인사 담당자와의 면접은 자기소개서와 지원서에 써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간단한 확인 작업과 궁금했던 점들을 더 디테일하게 물어봅니다. 기본적으로 구두로 자기소개를 해야하고요. 왜 일본에서 일을 하고자 하는지, 향후 커리어 플랜은 어떻게 되는지, 자신의 장단점, 전공과 관련한 질문들, 우리 회사에 관심이 갔던 사업 등등… 저의 경우는 인사 담당자가 모두 일본인이었고 당연히 일본어로 진행했어요.
2차 면접에서는 질문에 꾸밈없이 답변하고 일본어로 좀 못해도 자신있게 말하는 것이 중요해요. 저도 그렇고 함께 일본 취업을 준비하는 주변인들도 그렇고 대부분 2차에서 통과하는 데 시간과 경험이 좀 필요했던 것 같아요... 계속 떨어지다가 어느 순간 붙기 시작하더라고요. 이와 관련해서는 말이 길어질 것 같아 5번 항목에서 추가적으로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무튼 이렇게 보통 1차와 2차에 걸쳐 직종 관련 실력과 일본어 실력이 검증됩니다.
그리고 마지막 관문인데요, 3차에서 이루어지는 회사의 고위직과의 면접은 지원자의 인성(?)이나 태도, 성향 등을 다면적으로 평가하는 것 같아요. 기본적으로 일본어로 의사소통은 되는지, 우리 회사에 정말로 들어오고 싶어하는지, 일본에서 장기적으로 살 의향이 있는지, 내정받은 회사가 더 있는지는 대부분 물어보시더라구요. 그리고 어떤 회사의 경우에는 3차 면접에서 회사의 사업 내용 중 흥미로운 점과 개선점 등을 ppt로 준비하고 10분정도 발표해야 했던 경우도 있었어요.
이때는 절실함!ㅋㅋ 이 가장 중요해요. 난 이 회사밖에 없다. 내정을 받은 회사가 있지만 이 회사만 기다렸다는 어필이요!!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1차와 2차에서 다 걸러졌기 때문에 이분들은 실력 검증을 하기보다는 진짜 우리 회사에 들어와서 성실이 일할 준비된 사람을 뽑는 거거든요.
이게.. 제 생각보다 너무 글이 길어지는 것 같아서요,
3. 내정(최종 합격 통지)을 받기까지 면접 준비, 자기소개서 및 이력서 작성 꿀팁
4. 저만의 내정 승낙한 회사의 기준
에 관련한 포스팅은 다음 블로그에서 이어가 보겠습니다..!
반응형'도쿄 > 직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7개월차 일본 직장인이 말하는 일본계 회사 현실 (2) 2023.09.16 일본 취업 정리 2 (ft. 면접・자기소개서・이력서 작성 꿀팁) (2) 2023.07.17 일본 신입사원 월급ー연봉 공개(ft.실수령액, 최근 임금 인상) (2) 2023.07.10 일본취업 | 출국 전 꼭 준비해야 할 것 (0) 2023.01.15 일본 취업 비자 발급 과정(2) (2) 2023.01.14